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6

통계학과는 이과일까 문과일까 들어가기 전에, 저는 아직 개발자라고 불릴만한 실력이 아직 없는 전공자 학부생이며 현장실습을 뛰고 있는 학생임을 알립니다. 1000%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이며 통계학과인 친구와 통계학과인 팀 선배에게 들었던 얘기들을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개인 저장용으로 작성한 일기랑 비슷한 글. 통계학과의 데이터분석/인공지능 ‘개발’과 컴퓨터공학/정보통신공학과에 주로 다루는 ‘개발’에 대한 이야기를 우리학교 통계학과를 졸업한 데이터분석 팀 선배에게 들었다. 통계학과는 이과와 문과의 중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나는 여태까지 통계학과가 100% 이과라고 생각했는데, 이야기를 들어보니 그것만은 아닌 것 같더라. 데이터분석을 할때도 코딩을 한다. 파이썬으로 이것저것 만들어낸다. 그 과정때문에 100% 이과에 가깝다고 생각했.. 2022. 1. 21.
하늘에서 떨어지는 캐릭터 받아먹기 결과물 2022. 1. 20.
서브타입, 식별, 비식별, 식별자 Database 서브타입: https://dataprofessional.tistory.com/86 서브타입(Subtypes)이란? 지금까지 통합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오늘부터는 서브타입에 대한 글을 올리겠습니다. 그런데 막상 서브타입을 정의하려니 어렵네요. 며칠 째 막혀있었는데, 사실 서브타입 정의 자체는 엔터티 dataprofessional.tistory.com 엔터티를 통합하거나 분리하는 행위의 결과 공통 속성은 슈퍼타입 엔터티로 가고, 고유 속성은 서브타입 엔터티 예시> 공통된 데이터만 사원 엔터티에 남기고(슈퍼타입) 기술직, 관리직만의 specialize된 속성들은 별도의 엔터티로 구성(서브타입) 식별자&Primary Key 식별자와 Primary Key가 헷갈려서 찾아봤다. https://nan.. 2022. 1. 20.
1월 20일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1. 20.
1. 유니티 설치와 캐릭터 오브젝트 넣어보기 https://www.notion.so/1-ca30d9aa55b442369a714ae6f2d64892#4983fe67b06045e792738db5aa1d95a9 2022. 1. 18.
자기 참조 관계, 재귀 관계 Database 자기 참조 관계=재귀 관계 좋은 모델이란 엔터티의 변경 없이 또는 최소 변경으로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학부모와 학생은 재귀 관계가 될 수 있다. 학생이 자라면 학부모가 될 수 있기 때문. 이때 학부모와 학생은 모두 사람이기 때문에 합쳐서 재귀 관계로 만들어서 학생의 학부모가 누구인지만 관리하면 된다. 자기참조관계는 트리구조, 조직, 분류 등의 데이터를 관리할 때나 자기참조를 위해 사용 가능. 이때 필수적인 관계로 만들면 최상위 부모 개체가 만들어 질 수 없기 때문에 NULL 을 허용한 관계선을 설정해야 함. SQL 구현 시에는 connect by 절을 사용. BOM(Bill Of Material): 특정 제품이 어떤 부품으로 구성되는지를 표나 그림으로 표현한 것. BOM 모델은.. 2022. 1. 18.